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결과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안내문

     

    안녕하세요.15년째 종합병원 보건직에 몸담고 있는 마스크 쓴 원빈입니다.

     

     

    오늘은 마스크쓴원빈도 매년 받아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결과표에 항상 나오는 문구 대사증후군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건강검진결과안내문에 '대사증후군'위험안내문을 보고 사실 조금 놀라긴 했지만 알고보면 경고성의 문구로 지금부터 건강관리를 하라는 하나의 경고성 멘트입니다.

     

     

    🤔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복부비만 등 여러 질환의 씨앗이 되는 건강 이상 상태입니다. 쉽게 말해, 지금 당장은 병이 아니지만, 곧 병이 될 수 있는 경고등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5가지 항목 중 3가지 이상 해당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됩니다. 즉, 특정한 검사에서 비이상적인 수치가 아닌 3가지 이상이 경계성 수치로 나오면 대사증후군으로 판단됩니다. 


    항목 결과
    ① 허리둘레 남자 90cm↑ / 여자 85cm↑
    ② 중성지방 150mg/dL 이상
    ③ HDL콜레스테롤(좋은 콜레스테롤) 남자 40mg/dL 미만 / 여자 50mg/dL 미만
    ④ 혈압 130/85 mmHg 이상
    ⑤ 공복 혈당 100mg/dL 이상
    대사증후군치료
     

    마스크쓴원빈은 혈압이 살짝 높았고 공복혈당도 101mg/dL 로 아주 살짝 높게 나왔으며 중성지방도 살짝 높게 나왔습니다. 

     

     

    대사증후군 왜 위험할까?

     

    대사증후군은 단순히 ‘건강 적신호’ 그 이상입니다. 이 상태를 방치하면 다음과 같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 제2형 당뇨병
    • 고혈압
    • 심근경색, 뇌졸중
    • 지방간
    • 남성의 경우 발기부전
    • 여성의 경우 다낭성난소증후군(POS)

    즉, 혈관과 대사 기능이 망가지는 출발점이라 매우 중요하게 봐야 합니다. 병원에 근무하면서 입원했던 환자분들이 고인이 되는 경우는 여러 이유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역시나 주질환이 아닌 합병증으로 생을 마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당뇨병과 지방간입니다. 당뇨병과 지방간등을 방치하게 되면 면연력감소로 인해 그만큼 취약질환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대사증후군 원인

     

    대사증후군은 20~30대 젊은 층에서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이유는 잘못된 식습관생활습관 때문입니다. 야식을 먹고 늦게 자는 수면부족과 음주, 흡연때문입니다. 

     

     

    또한 스트레스도 주요 원인중 하나겠습니다. 잘못된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더라고 꾸준하게 운동만 하면 어느정도 회복이 되지만 바쁜현대사회에서 꾸준하게 운동을 하는것도 쉽지 않습니다. 

     

    참고로 대사증후군은 기본 5개검사중 3개이상에서 경계성 위험으로 나올경우 대사증후군안내문 발송되기 때문에 특별하게 대사증후군증상은 따로 없습니다.

     

     

    앞서언급했듯이 대사증후군은 질병이라기보다 질병이 되기 전단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사증후군 치료

     

     

    대사증후군 치료는 당연히 식단조절과 운동입니다. 물을 많이 마시고 육류대신 채소위주의 식단을 먹으면 됩니다. 또한 포화지방이 적은 음식위주로 먹으면 당뇨예방에는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운동을 통해 체중관리를 5~10%만 줄여도 대사증후군위험 50%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마스크쓴원빈의 형님이 매일 저녁런닝을 통해 약5kg을 감량하고 정상혈당과 정상체중 그리고 정상혈압으로 돌아왔습니다. 

     

    다시한번 알려드리지만 대사증후군은 중장년층보다 청년층에서 더 위험한 경고 메시지입니다. 대사증후군 판정을 받고도 방치하게 된다면 언젠가는 큰 병으로 다가 올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