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종류와 구분-전문의, 전임의, 전공의, 일반의사, 수련의 차이
안녕하세요. 종합병원에서 15년째 보건직 종사자로 일하고 있는 마스크쓴원빈입니다.
요즘 대한의사협회와 전공의단체에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교수진료 휴진등의 의사파업으로 연일 뉴스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디어에서 많은 의사들을 지칭하는 용어가 나오는데 사실 일반사람들은 헷갈리기도 합니다. 결국은 다 같은 의사이지만 사실상 조금씩의 의사를 일컫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의사종류 의사구분에 대해서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또한 일반의 전공의차이등에 대해서도 나열하겠습니다.
의사종류 비교
구분 | 의사면허 | 전문의면허 | 기간 |
수련의 | O | X | 1년 |
일반의 | O | X | - |
전공의 | O | X | 4년 |
전문의 | O | O | - |
전임의 | O | O | 1~3년 |
기본적으로 의사면허 취득을 위해서는 의대를 졸업해야 의사면허 취득조건이 됩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의대는 6년의 학업기간이 있습니다.
수련의(Intern)
의대를 졸업하고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는 수련병원에서 수련의 생활을 1년 하여야 합니다. 흔히 드라마에서 나오는 인턴의사를 수련의라고 칭합니다.
수련병원은 대부분 대학병원과 상급종합병원등이 해당됩니다. 인턴 수련의들은 1년동안 모든 진료과를 순회하며 학습하고 본인이 희망하는 진료과를 선택하게 됩니다.
참고로 의사생활에서 가장 힘든 시기가 바로 수련의 시기 1년입니다.
일반의(General Practitioner=GP)
일반의는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면허를 취득후 전문진료과 없이 진료를 보는 의사를 말합니다.
즉, 의대에서 예과 2년 본과 4년 총 6년의 과정을 거쳐서 의사면허를 취득하면 일반의가 되는 것입니다.
일반의는 병원 개원시 진료과를 병원상호에 넣지 못합니다. 따라서 '홍길동의원'이라고 한다면 전문의가 아닌 일반의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공의(Resident)
전공의는 수련의 1년후 전문의가 되기 위한 4년의 과정을 하는 의사를 전공의라고 합니다. 드라마에서 레지던트라고 하는 의사들이 전공의 입니다.
전공의는 본인이 선택한 진료과에서 실무교육을 받는 기간을 말하며 전공의수련기간 4년을 채우면 전문의 시험자격이 주어지면서 합격하면 전문의가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의사는 전공의 기간이 4년 치과의사 전공의 기간은 3년입니다.
현재 의사파업으로 인해서 수련병원 혹은 대학병원에서 전공의가 집단사직을 했는데 이유는 대부분의 환자초진과 입원환자 환자케어를 사실상 전공의가 맡아서 하는 비중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원은 입원환자 외래환자를 진료할 의사가 없다는 것이 현실화가 되어 병원적자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문의(Specialist)
전문의는 앞서 언급했듯이 수련의와 전공의기간을 무사히 마쳐서 전문의 자격 시험에 합격하면 전문의가 됩니다.
전문의가 되고 나서는 대부분 수련병원에서 퇴직후 본인의 진료과로 개원을 하던지 교수가 되기 위해 전임의로 가던지 선택을 하게 됩니다.
병원 개원을 하게 된다면 '홍길동정형외과의원' 처럼 병원상호에 진료과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
전임의(Fellow)
전임의는 상급종합병원 대학병원등에서 전문의가 되고 나서 교수를 하기 위한 과정입니다. 대학병원교수는 환자진료와 함께 후학양성을 위해 의대생들에게 교육도 함께 합니다.
전임의 기간은 병원마다 다르고 보통은 1~3년의 펠로우 기간이 주어집니다. 물론, 전임의 펠로우가 끝났다고 해도 정교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조교수-부교수-교수 등의 승진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보통은 조교수 부터 대학병원 교수님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